브람스 피아노 4중주곡 제3번 다단조, 작품60 Brahms Piano Quartet No. 3 in C minor, Op. 60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브람스(Brahms, Johannes, 1833~1897) 낭만파 시대의 작곡가이지만 '신고전파'라고 불리울 만큼 절대 음악에 몰두하여 19세기 이후의 고전적 작곡가로 추앙받고 있다. 그는 바흐에게는 다성적인 요소를, 베토벤에게는 고전적 형식을 이어 받아 낭만적 정서가 담기면서 고전적인 새로운 기교를 나타냈다.
주요 작품으로 교향곡 4곡, <대학 축전 서곡>, <피아노 협주곡>, <현악 4중주곡>, <헝가리 춤곡>, 가곡<영원한 노래>, <자장가> 등이 있다.
악곡 해설
1855년경부터 오랫동안 미완성인 채로 두었던 올림다단조 피아노 4중주곡 단2도를 내려서 피아노 4중주 다단조 작품60과 같이 슈만이 강에 투신한 후 정신병원에 수용되던 1875년에 수정하게 된다. 브람스는 원래의 피날레를 재구성하여 제2악장 스케르초를 쓰고, 그래서 제4악장은 새로운 피날레가 대체되고, 제3악장 안단테도 썼는데, 슈만의 우울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이 곡은 제3악장을 제외한 3개의 악장을 다단조를 사용하여 우울하고 어두운 느낌이 곡 전체를 감싸고 있다.
브람스가 여전히 자살을 생각하는 남자의 이미지를 사용했고, 그의 친구와 출판업자 짐로크(Simrock)에게 현악 4중주곡을 괴테의 소설 ‘베르테르의 슬픔’(그 주인공은 그가 존경하는 남편을 둔 기혼 여성에 대한 고뇌 때문에 실제로 총을 쏘는 것)의 음악적 삽화로 간주할 수 있다고 암시해서 이 곡은 3곡 중에 유일하게 “베르테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그리고 1875년 11월 18일 비엔나에서 초연이 열렸는데, 브람스는 피아노, 요제프 헬메스베르거는 바이올린, 유명한 거장 데이비드 포퍼는 첼로였다.
I. Allegro non troppo, C minor, 3/4 time, Sonata form
제1악장: 너무 빠르지 않게, 다단조, 3/4박자, 다단조
제1악장의 제1주제 선율에는 슈만이 여러 곡에서 사용하였던 '클라라(CLARA)'라는 이름을 말하는 것 같은 클라라 주제 “C-B-A-G#-A”를 다단조로 이조를 하여 E-D-C-B-C로 변형되었다.
제시부 | 제1주제 | 너무 빠르지는 않게 | 다단조 | 3/4 | |
경과부 | 다단조-내림마장조 | ||||
제2주제 | 1 | 내림마장조 | |||
2 | |||||
코데타 | 내림마장조-내림마단조 | ||||
발전부 | A(제1주제) | a | 나장조 | ||
b | 마단조 | ||||
a' | 사장조 | ||||
B(제2주제) | a | 다단조 | |||
b | 가장조 | ||||
c | 다단조 | ||||
재현부 | 제1주제 | ||||
경과부 | 다단조-사장조 | ||||
제2주제 | 1 | 사장조 | |||
2 | |||||
코데타 | 사장조-다단조 | ||||
코다 | 다단조 |
제1주제
제2주제
제시부
전개부
재현부
제1악장 감상하기
II. Scherzo. Allegro, C minor, 6/8 time, Compound ternary forms
제2악장: 스케르초. 빠르게, 다단조, 6/8박자, 복합 3부 형식
일반적으로 소나타의 제3악장에 스케르초 악장이 구성되는 것과는 달리 이 곡은 제2악장이 스케르초이며, 브람스의 초기 리듬의 역동적인 훌륭한 악장이다. 도입은 못갖춘마디의 다단조의 어둡고 힘찬 피아노의 8도 화음으로 압도한다. 애절하고 성가 같은 주제는 애처롭기 그지없다. 특이하게도 트리오 B의 가운데 섹션은 없지만 악장은 알차게 구성되어 있으며, 격렬한 반항적인 연주는 갑작스럽게 코다에서 끝낸다.
A | a | 빠르게 | 다단조 | 6/8 |
b | 사단조 | |||
a' | 다단조 | |||
B | c | 내림가장조 | ||
d | 바단조 | |||
A' | a | 다단조 | ||
b | 사단조 | |||
a' | 다단조 | |||
코다 | 다장조 |
A
B
A'
코다
제2악장 감상하기
III. Andante, E Major, 4/4 time, Compound ternary forms
제3악장: 느리게, 마장조, 4/4박자, 복합 3부 형식
안단테 마장조로 시작되는 노래 같은 첼로 제1주제는 바이올린과의 황홀한 듀엣으로 이어지며, 정서적 안정과 고요함을 선사한다. 그리고 나장조 제2주제가 있는 파트 B는 넓은 소나타 형식으로 둘러싸인 작품의 정중앙에 있다. 피아노의 옥타브에서 연주하는 첼로 선율과 첼로와 비올라의 피치카토 반주는 놀랍도록 감동적이다.
A | a | 느리게 | 마장조 | 4/4 |
a' | ||||
a'' | ||||
연결구 | 나장조 | |||
B | b | |||
b' | ||||
c | ||||
A' | a | 마장조 | ||
a' | ||||
a'' | ||||
연결구 | ||||
코다 |
파트 A
트리오 B
파트 A'
코다
제3악장 감상하기
https://youtu.be/ebjVtxw9IRc
IV. Finale. Allegro comodo, C minor. 2/2 time, Sonata form
제4악장: 피날레, 적당한 빠르기로, 다단조, 3/3박자, 소나타 형식
제4악장은 현악기와 피아노가 대조적으로 서로 응답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제1악장에 이어 다시 제1주제와 제2주제에 걸쳐 변형된 클라라 주제를 사용하여 클라라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고 있다.
제시부 | 제1주제 | 적당한 빠르기로 | 다단조 | 2/2 |
경과부 | 다단조-내림마장조 | |||
제2주제 | 내림마장조 | |||
코데타 | ||||
발전부 | A | 다단조-가단조-나단조 | ||
B | 사장조-다단조 | |||
C | 나단조 | |||
재현부 | 제1주제 | 다단조-다장조 | ||
제2주제 | 다장조 | |||
코데타 | ||||
코다 |
제1주제

제2주제

제시부

전개부

재현부

코다

제4악장 감상하기
전악장 감상하기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2
무제 문서 ■ 책 소개 QR코드를 통해 유튜브로 바로 감상하는 클래식 명곡! 저자 서경수는 중등음악교육의 베테랑 수석교사로, 효과적이고 수월한 음악 감상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 30여 년간 노
www.yesolpres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