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람스(Brahms, Johannes, 1833~1897) 낭만파 시대의 작곡가이지만 '신고전파'라고 불리울 만큼 절대 음악에 몰두하여 19세기 이후의 고전적 작곡가로 추앙받고 있다. 그는 바흐에게는 다성적인 요소를, 베토벤에게는 고전적 형식을 이어 받아 낭만적 정서가 담기면서 고전적인 새로운 기교를 나타냈다.
주요 작품으로 교향곡 4곡, <대학 축전 서곡>, <피아노 협주곡>, <현악 4중주곡>, <헝가리 춤곡>, 가곡<영원한 노래>, <자장가> 등이 있다.
악곡 해설
브람스 생애에 가장 행복하고 작곡량이 많았던 시기인 1859년 가을부터 이듬해 여름에 걸쳐 아가테 6중주로 불리는 현악 6중주 제1번을 썼다.
현악 4중주의 편성에 테너에 해당하는 비올라와 베이스에 해당하는 첼로를 각각 1대씩 추가해서 음향의 풍성함으로 교향악적 외형을 갖추었다.
젊은 브람스의 정열과 함께 전원적이면서 즐겁고 행복한 느낌이 넘쳐 흐른다. 신선하고 색채가 풍부하며 음향적이다. 전체적인 신선하며 음향이 풍부하며 민요풍의 주제와 6개의 변주로 된 라단조 제2악장이 단연 돋보인다. 일명 ‘브람스의 눈물’이다.
I. Allegro ma non troppo, B-flat major, 3/4 time, Sonata form
제1악장: 빠르지만 지나치지 않게, 내림나장조. 3/4박자. 소나타 형식
부드러운 제1비올라의 도입으로 제1바이올린과 제1첼로가 다소 불안한 느낌의 제1주제를 연주한다. 이는 사랑하면서도 이별한 아카테의 이름을 선율에 적용한 A-G-A-(T)H-E(라-솔-라-시-미)선율이다. 그리고 서정미가 높은 제2주제는 제1바이올린과 1옥타브 아래의 제1비올라가 연주한다. 코데타에서는 아가테의 선율에 대한 응답으로 독일어로 작별을 뜻하는 A-D-E(라-레-미)를 연주한다. 발전부는 제1 주제 악절의 발전으로 시작하며 다양한 전개를 보이다가 재현부를 거쳐 코다로 끝난다.
제시부 | A1 | 제1주제 | a1 | 빠르지만 지나치지 않게 | 내림나장조 |
3/4 |
a1' | ||||||
경과구1 | a2 | 내림라장조 | ||||
b | 내림나장조 | |||||
경과구2 | a3 | 내림나장조-바단조 | ||||
a3' | 바장조-다단조 | |||||
B | 제2주제 | c | 라단조-바장조 | |||
c1 | 바장조 | |||||
C | 제3주제 | d | ||||
d' | ||||||
D | 코데타 | e1 | ||||
e2 | ||||||
e2' | ||||||
A2 | 제1주제 | a4 | ||||
발전부 | A1' | 제1주제 | a1'' | 사단조-내림나장조 | ||
a1''' | 가단조-다장조-라단조-다단조 | |||||
연결구 | a3'' | 다단조 | ||||
a3''' | ||||||
B'제2주제 | c' | 마단조 | ||||
c1'' | 마단조-라단조 | |||||
A2'제1주제 | a4' | 내림나장조 | ||||
a4'' | ||||||
재현부 | A1'' 제1주제 |
제1주제 | a1'''' | |||
a2' | ||||||
경과구1 | b' | |||||
경과구2 | a3'''' | |||||
a3''''' | ||||||
B''제2주제 | c'' | 라장조 | ||||
c1'' | ||||||
C'제3주제 | d'' | 내림나장조 | ||||
d''' | ||||||
D'코데타 | e1' | |||||
e2'' | ||||||
e2''' | ||||||
A2''제1주제 | a4''' | |||||
a4'''' | ||||||
코다 | d''''+ d''''' | 조금 더 보통빠르기로 |
제1주제
제2주제
제3주제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코다
제1악장 감상하기
II. Andante, ma moderato, D minor, 3/4 time, Variation form
제2악장: 느리게, 그러나 보통 빠르기로, 라단조, 3/4 박자, 변주곡 형식
일명 ‘브람스의 눈물’로 불리는 제2악장을 변주곡의 대가인 그는 변주곡 형식을 사용하여 주제와 6개의 변주로 구성했다. 1858년 여름 독일의 괴팅겐(Göttingen)으로 여행을 갔다가 그곳 대학교수의 딸인 소프라노 가수 아가테 폰 지볼트(Agathe von Siebold, 1835~1909)를 만나 서로 사랑하다가 그 이듬해 봄에 그만 헤어지게 된다. 그 같은 정신적인 심리 상태가 이 악장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브람스는 클라라의 41번째 생일에 그녀를 위해 제2악장을 피아노곡으로 편곡해 헌정하였다.
주제 | 느리게, 그러나 보통 빠르기로 | 라단조 | 3/4 |
제1변주 | |||
제2변주 | |||
제3변주 | 라단조 | ||
제4변주 | 라장조 | ||
제5변주 | |||
제6변주 | 라단조 |
주제
제1변주
제2변주
제3변주
제4변주
제5변주
제6변주
제2악장 감상하기
III. Scherzo. Allegro molto, F Major, 3/4 time, Compound ternary forms
제3악장 : 해학적이면서. 매우 빠르게, 바장조, 3/4 박자, 복합 3부 형식
스케르초에 약동하는 정력과 해학미는 베토벤의 악상을 연상케 한다. 첼로의 피치카토에 바이올린이 경쾌한 선율을 연주다. 트리오에서는 힘차게 특히 폭풍과 같은 분위기인데, 제1부가 반복된 후 트리오의 선율에 의한 강렬하고 간결한 코다로 끝난다.
스케르초 A | a | 해학적이면서. 매우 빠르게 | 바장조 | 3/4 |
b | 바단조 | |||
a' | 바장조 | |||
트리오 B | c | |||
d | 다장조 | |||
c' | 내림라장조 | |||
c'' | 내림나장조 | |||
스케르초 A' | 스케르초 A로 부터 표시된 위치까지 반복한 다음 코다를 연주함 | |||
코다 | 조금 더 생기있게 | 바장조 | 3/4 |
스케르초 A
트리오 B
스케르초 A’
코다
제3악장 감상하기
IV. Rondo. Poco Allegretto e grazioso, B-flat major, 2/4 time, Rondo form
제4악장: 론도. 조금 빠르고 우아하게, 내림나장조. 2/4박자. 론도 형식
제4악장은 전악장 중에서 가장 고전 양식이 풍부한 악장으로 옛 론도 형식의 전형을 유감없이 사용했다. 주제 A는 a-a-b-a' 구조로 세분화하여 제1 첼로가 우아하게 연주한다. 제2주제는 제1바이올린과 제1비올라가 아름다운 정경을 연주한다. 코다에서는 아름답고 상쾌하게 환호의 승리같이 화려하게 끝난다.
A | a | 론도. 조금 빠르고 우아하게 | 내림나장조 | 2/4 |
a의 반복 | ||||
b | ||||
a' | ||||
연결구 | 바장조 | |||
B | c | |||
d | ||||
c' | ||||
d' | ||||
A' | a | 내림나장조 | ||
a' | ||||
b1 | ||||
a1 | ||||
C | e | |||
f | ||||
f의 반복 | ||||
e' | ||||
e'' | ||||
f''' | ||||
e''' | ||||
연결구 | ||||
A'' | 4a | |||
b1 | ||||
a1' | ||||
B' | c | |||
d' | ||||
c' | ||||
d'' | ||||
a | ||||
A''' | a’ | |||
b | ||||
b2 | ||||
a2 | ||||
a'' | ||||
d | ||||
b | ||||
코다 | b+e | 조금씩 흥겹게 |
A
B
A'
C
A''
B'
A'''
코다
제4악장 감상하기
https://youtu.be/GV9C1pqyjBM
전악장 감상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