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브람스 교향곡 제1번 다단조, 작품68 Brahms Symphony No. 1 in C minor, Op. 68

black sheet music 03 2024. 8. 1. 13:13
728x90

브람스(Brahms, Johannes, 1833~1897) 낭만파 시대의 작곡가이지만 '신고전파'라고 불리울 만큼 절대 음악에 몰두하여 19세기 이후의 고전적 작곡가로 추앙받고 있다. 그는 바흐에게는 다성적인 요소를, 베토벤에게는 고전적 형식을 이어 받아 낭만적 정서가 담기면서 고전적인 새로운 기교를 나타냈다.
 주요 작품으로 교향곡 4곡, <대학 축전 서곡>, <피아노 협주곡>, <현악 4중주곡>, <헝가리 춤곡>, 가곡<영원한 노래>, <자장가> 등이 있다.

 

악곡 해설

브람스는 단 4곡의 교향곡을 남겼지만 그의 많은 작품 중에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것이 교향곡이라고 할 수 있다.

한스 폰 뷜로는 이 작품을 베토벤의 제10번 교향곡이라고 하면서 제9번 교향곡 다음 가는 작품이라 말할 정도로 베토벤의 정신이 담긴 작품이다.

이 곡을 표현하는 "암흑에서 광명을" 또는 "고난을 극복하고 승리로 이끌어 올리는 투쟁 정신" 같은 말도 베토벤과 일맥상통한다 하였다. 브람스는 베토벤의 교향곡을 대단히 훌륭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그의 작품이 있는 한 다른 교향곡이 필요 없다고 까지 생각했었다.
그러나 브람스의 작품에는 브람스의 독특한 개성이 나타나 있다. 베토벤의 9번 교향곡과 브람스의 제1번 교향곡과는 52년이란 오랜 세월이 있어 작곡 기교면에서도 복잡하고 기교의 변화가 많은 것이다.
함부르크의 자연 환경에 영향을 받았는지 북국의 어둡고 흐린 면이 있다. 음악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새로운 낭만주의자로서의 맛이 풍기는 것이다.
22세 때 슈만에게 보낸 편지에 교향곡 제1번을 쓰기 시작했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43세에 완성되었다. 확실히 신중에 신중을 기했던 것 같다.

 

. Un poco sostenuto - Allegro, C minor, 6/8 time, Sonata form
1악장: 음을 조금 끌어서 - 빠르게, 다단조, 6/8박자, 소나타 형식 

 

서주부 a 음을 조금 끌어서 다단조 6/89/8
b 6/8
a'
제시부 1주제 빠르게
연결구
2주제 내림마장조
소종결구 내림마단조-나장조
전개부 1주제 나장조-다단조
2주제 다단조내림사장조가장도다장조-다단조
재현부 1주제 다단조
연결구
2주제 다장조
소종결구 조금 빠르게 다단조
코다 음을 조금 끌어서 다단조-다장조

 

서주부

서주부에서 제1악장의 주제를 느리게 암시한다.

서주부가 조용히 끝나면 갑자기 제1주제의 예고라고 할 만한 것이 나타나서 빠른 제시부로 들어간다. 2주제는 우아하게 오보에로 나타난다


 https://youtu.be/RgUzDpE0Z_M

 

 

1주제

 https://youtu.be/pU-_n783PCk

 

경과구

https://youtu.be/zhCCD2HqYqo

 

2주제

https://youtu.be/Q675Qlgj8KY 

 

소종결구

https://youtu.be/5zbvNQr_mUQ

 

제시부 감상하기

https://youtu.be/XncEkS46JPw

 

 

전개부 감상하기

https://youtu.be/71i7EZlugx8

 

재현부 감상하기

https://youtu.be/9b7gXD3hHeM

 

 

코다 


https://youtu.be/o5eqW1TyZ3Y

 

제1악장 전곡 감상하기

https://youtu.be/mZ8RIT8U55s

 

 

. Andante sostenuto, E Major, 3/4 time, Compound three part form

2악장:음을 끌어서 느리게,마장조, 3/4박자,겹세도막 형식

A 음을 끌어서 느리게 마장조나단조-마장조 3/4
B a 마장조-올림다단조
b 올림다단조내림라장조-올림다단조
연결구
A' 마장조나장조-마장조
코다 마장조

 

전체적으로 평화와 위안을 동경하는 느낌이 흐르고 있다. 3개의 주요 부분으로 된 – – A'의 겹세도막 형식으로 파트 ‘B – b’는 마장조의 관계조와 상관없는 조성의 화성 진행을 통해 낭만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A 음을 끌어서 느리게 마장조  나단조 - 마장조 3/4박자

 

https://youtu.be/V1jnmI9dRuA

 

B a 음을 끌어서 느리게 마장조 - 올림다단조 3/4박자
b 음을 끌어서 느리게 올림다단조  내림라장조 - 올림다단조 3/4박자
연결구 음을 끌어서 느리게 올림다단조  내림라장조 - 올림다단조 3/4박자

https://youtu.be/cwZPlEPS01o

 

A' 음을 끌어서 느리게 마장조  나장조 - 마장조 3/4박자
코다 음을 끌어서 느리게 마장조 3/4박자


https://youtu.be/zD9uj09xz8s

 

 

2악장 전곡 감상하기

https://youtu.be/HYuuND4Tbfo

 

 

. Un poco allegretto e grazioso, A flat major, 2/4 time, Compound three part form

3악장:우아하고 조금 빠르게,내림가장조, 2/4박자,겹세도막 형식

A a 우아하고 조금 빠르게 내림가장조 2/4
b
a'
b'
c 바단조
a'' 내림가장조
B(Trio) 나장조
A' a''' 내림가장조
b''
코다

 

 

2악장과 같은 겹세도막 형식이며, 브람스가 즐겨 사용한 2개의 동기로 운명의 동기 죽음의 동기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교향곡의 제3악장은 3박자로 된 경쾌한 무곡풍이지만 이 곡에서는 부드럽게 평화로우며 우울한 기분이 감돈다.

 

A

A a 우아하고 조금 빠르게 내림가장조 2/4박자
b 우아하고 조금 빠르게 내림가장조 2/4박자
a' 우아하고 조금 빠르게 내림가장조 2/4박자
b' 우아하고 조금 빠르게 내림가장조 2/4박자
c 우아하고 조금 빠르게 바단조 2/4박자
a'' 우아하고 조금 빠르게 내림가장조 2/4박자

 

https://youtu.be/CyiMjuSZaVI

 

B(Trio)

트리오에서 단조로운 멜로디가 나타나고 후에 아름답고 활발한 리듬의 제2주제가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브람스의 중후한 기분을 느끼게 한다.

B(Trio) 우아하고 조금 빠르게 나장조 2/4박자

https://youtu.be/xOHslqViIiE

 

 

A'

A' a''' 우아하고 조금 빠르게 내림가장조 2/4박자
b'' 우아하고 조금 빠르게 내림가장조 2/4박자

 

https://youtu.be/mmt65Bint0o

 

코다

 

코다 우아하고 조금 빠르게 내림가장조 2/4

https://youtu.be/2YuLHn-qu3c

 

제3악장 감상하기

https://youtu.be/qq_27rtYr4A

 

 

. FInale, Adagio - Piu Andante - Allegro non troppo, Sonata form

4악장:피날레, 아주 느리게조금 느리게, 다장조, 4/4박자, 소나타 형식

서주부 a 아주 느리게 다단조바단조-다단조 4/4
b 조금 느리게 다장조
제시부 1주제 다장조
연결구 사장조
2주제
소종결구 마단조
재현부 1주제 다장조
1주제 발전 내림마장조
2주제 다장조
소종결구 다단조
코다 연결구
코다 지나치지 않은 빠르기로 다장조

 

 

서주부

서주부 a 아주 느리게 다단조  바단조 - 다단조 4/4박자
b 조금 느리게 다장조 4/4박자

서주부가 있고 전개부가 없는 변형된 소나타 형식을 사용했다. 서주부에서는 제시부에서 나올 소재들을 나타낸다. 제시부가 끝나면 재현부가 전개부를 겸하게 된다.
처음에는 우수와 번민에 찬 기분을 느리게 하지만 곧 현악기로서 극적인 밝은 빛이 보이며 장엄한 호른에서 목관에 들어가 목가적인 기분을 자아낸다. 이 선율은 브람스가 클라라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가사를 붙여서 보낸 가곡적 단편 선율이다.

 https://youtu.be/y65bMbpoMd4

 

제시부 감상하기

제시부 1주제 너무 빠르지 않고 매우 활기차게 다장조 4/4박자
연결구 너무 빠르지 않고 매우 활기차게 사장조 4/4박자
2주제 너무 빠르지 않고 매우 활기차게 사장조 4/4박자
소종결구 너무 빠르지 않고 매우 활기차게 마단조 4/4박자

https://youtu.be/RFuNR1vA9SI

 

1주제

그 후 점차 환희의 합창과도 같이 승리를 향해 돌진하는 박력에 찬 모습으로 나타난다.
여기에 민요풍의 제1주제는 베토벤 교향곡 제9번의 주제와 비슷하지만 단순하면서도 힘에 차 있다. 그 후에 제2주제가 나타나 발전되어 호화스럽게 끝난다.

 

 https://youtu.be/oeIxgJfax3Y

 

경과구

 https://youtu.be/T90oB69l9Ls

 

2주제

 https://youtu.be/O80DQMZgs08

 

코데타

 https://youtu.be/E717na2huBw

 

 

제시부 감상하기
https://youtu.be/RFuNR1vA9SI?si=4hzhE5v9oFoY2I7F

 

 

 

재현부 감상하기

제시부가 끝나면 재현부가 발전부를 겸한다.

재현부 1주제 너무 빠르지 않고 매우 활기차게 다장조 4/4박자
1주제 발전 너무 빠르지 않고 매우 활기차게 내림마장조 4/4박자
2주제 너무 빠르지 않고 매우 활기차게 다장조 4/4박자
소종결구 너무 빠르지 않고 매우 활기차게 다단조 4/4박자

 

 https://youtu.be/LnhOCjkweIc

 

코다

코다 연결구 너무 빠르지 않고 매우 활기차게 다단조 4/4박자
코다 지나치지 않 빠르기로 다장조 4/4박자

https://youtu.be/p05BiyVbWjo

 

 

4악장 전곡 감상하기

 https://youtu.be/nzKGaACuuUE

 

 

전악장 감상하기

https://youtu.be/ZCkS6fy9Fdk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2

무제 문서 ■ 책 소개 QR코드를 통해 유튜브로 바로 감상하는 클래식 명곡! 저자 서경수는 중등음악교육의 베테랑 수석교사로, 효과적이고 수월한 음악 감상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 30여 년간 노

www.yesolpress.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