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델(Handel, Georg Friedrichl : 1685. 2. 23∼1759. 4. 14 英)은 오라토리오 「메시아」로 널리 알려진 바로크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바하와 같은 시대에 나서 그 때까지의 음악의 모든 요소를 기반으로 하여 하나의 새로운 음악 세계로 비약시켰다. 바하의 음악이 이지적이며 대위법적이고 교회와 궁정을 중심한 경건한 음악이라 한다면 헨델의 음악은 감정적이고 멜로디를 바탕으로 하여 세속과 대중을 상대로 웅장하고 상쾌한 음악을 창조했다.
헨델은 참으로 백절불굴의 투지와 정력적이고 활동적이며 강하나 인정미가 넘치는 인간이었다. 그의 음악은 대중을 상대로 썼으며 극적이고, 웅대하고, 명랑하고, 활달하여 따뜻한 인간미가 흐르는 것은 그 인격의 반영이라 할 것이다. 그는 21세 때 이탈리아 음악을 꿈꾸면서 새 길을 개척하기 위하여 대망을 품고 로마로 갔다. 그 곳에서 점차 두각을 나타내 신진 작곡가로 활약하면서 건반악기의 연주자로서도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그 후 그는 하노버 궁정 악장의 자리를 차지했고 1710년, 영국을 방문한 이래 영국에 머무르면서 앤 여왕의 비호를 받아 오페라 작곡가로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그러나 그 전도가 그리 평탄한 것은 아니었다. 이탈리아 악파인 보논치니(1670-1747)와는 음악 상의 적수였다. 이들의 경쟁과 헨델을 질투하는 음모 때문에 수회의 파산과 세 번이나 죽을 고비를 당했다. 아무튼 그는 죽을 때까지 영국에 살면서 오페라, 오라토리오 등 많은 작품을 썼으며 1726년에는 영국에 귀화했다.
한때 비운에 빠지기도 했던 그는 아일랜드 총독의 더블린 연주회에 초청을 받았다. 그 곳에서 필생의 대작인 「메시아」가 24일이란 단기간에 탈고되어 1742년 4월 12일. 더블린에서 초연하여 절찬을 받았다. 메시아의 초연 후 8년째인 그가 65세 되던 해에는 완전한 승리자가 되었다. 그의 생존시의 「메시아」 공연만 해도 34회나 되었다고 한다. 헨델은 영국의 국가적인 음악가로서 존경을 받아 사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다. 그의 작품은 46곡의 오페라와 우수한 오라토리오를 비롯하여 오케스트라, 바이올린, 쳄발로, 오르간 분야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의 음악은 명쾌하고 호탕하고 신선하여 생생한 리듬에 성악적이다. 그는 가난한 음악가 구제회에 1000파운드를 남겨 놓고 세상을 떠났다. 베토벤의 말년과 같이 그는 바로크 음악의 대가였다.
악곡 해설
이 곡은 1749년 봄, 영국과 프랑스와의 전란이 아텐에서 조정된 것을 축하하는 불꽃 놀이를 위해 작곡된 작품이다.
이 야외 축전 음악은 1749년 4월 27일 런던 그린 파크에서 열린 축하 불꽃 대회에서 초연되었다. 그리고 수상 음악과 함께 아일랜드의 명지휘자 해밀턴 하디의 편곡으로 된 것을 많이 연주한다.
버킹검
이 곡은 1749년 봄, 독일 서부의 아헨(Aachen)에서 영국과 프랑스의 전란이 조정된 것을 축하하는 불꽃놀이를 위해 영국의 국왕 조지 2세(GeorgeII of Great Britain, 1683~1760)가 작곡하도록 하였다. 1749년 4월 27일 런던 그린파크에서 열린 축하 불꽃 대회에서 초연되었다. 그리고 수상음악과 함께 아일랜드의 명지휘자 해밀턴 하티(Sir Herbert Hamilton Harty, 1879~1941)의 편곡으로 된 것을 많이 연주된다.
1. Ouverture, Adagio(4/4)-Allegro(3/4)-Lentement(4/4)-Allegro(3/4), D Major
제1곡: 서곡, 아주 느리게(4/4)0빠르게(3/4)-천천히 늘여서(4/4)빠르게(3/4), 라장조
4/4박자의 팀파니 트레몰로로 시작하는 장엄한 느낌의 부분과 3박자의 빠르고 화려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서곡은 축제의 분위기를 북돋우는 우렁찬 행진곡풍이다.
2. Bourrée, Allegro, D minor, 2/2 time, Two part form
제2곡: 부레, 빠르게, 라단조, 2/2박자, 두도막 형식
빠른 2박자 계통의 프랑스 춤곡 부레이다.
3. La Paix, Largo alla siciliana, D Major, 12/8 time, Two part form
제3곡: 평화, 느리게, 시칠리아나 풍으로, 라장조, 두도막 형식
시칠리아 춤곡 풍으로 실내악적 분위기로 느리고 엄숙하게 진행되다가 그 후에 빠른 환희의 음악이 나타난다.
4. La Réjouissance, Allegro, D minor, 4/4 time, Two part form
제4곡: 환희, 빠르게, 라단조, 4/4박자, 두도막 형식
‘기쁨’이란 뜻으로 18세기 빠르고 경쾌한 소곡에 붙는다.
5. Minuets 1 and 2, Moderalely, D Major-D minor, 3/4 time, Compound three part form
제5곡: 미뉴에트 1과 2, 보통 빠르기로, 라장조-라단조, 3/4박자, 겹세도막 형식
라단조와 라장조의 2개의 우아한 미뉴에트로 되어 있다.
‘왕궁의 불꽃놀이 음악’ 전곡 감상하기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3
무제 문서 ■ 책 소개 QR코드를 통해 바로바로 감상하는 클래식 명곡 입문 시리즈 제3권! 저자 서경수는 중등음악교육의 베테랑 수석교사로, 효과적이고 수월한 음악 감상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
www.yesolpres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