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악기-8음분류법/혁(革)_가죽

응고

black sheet music 03 2024. 7. 29. 10:41
728x90

 응고(應鼓) 는 유래와 사용하는 곳이 삭고와 같으니 세종시대 이래로 궁중 조하악에 써오던 북의 한 가지이다. 응고는 전정 헌가에서 건고 동쪽에 위치하니 삭고의 대방이 되고 크기는 삭고보다 자칫 작은듯 하면서 틀에 꽂힌 해 모양이 달 모양인 점이 다를뿐 그와는 다 삭고와 같다. 연주는 음악이 시작할 때 삭고가 먼저 울리면 다음에 응하여 한번 쿵 받아 쳐 울리는 북으로 되어있다.
https://youtu.be/4_D_RMcs-bk?si=LC8wgG53m6hEH2bf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음악전문 출판사 [예솔]에서 신간도서를 안내해 드립니다. 저자 서경수|출간분야 음악|크기 152X225mm|...

blog.naver.com

 

728x90

'우리 국악기-8음분류법 > 혁(革)_가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도  (0) 2024.07.29
소고  (0) 2024.07.29
  (0) 2024.07.29
장구(장고)  (0) 2024.07.29
절고  (0) 2024.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