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서경수의 열린 음악실/제2장 음악수업 전후에 많이 듣던 음악

교향시 '나의 조국' 중 제2번 '몰다우' Má vlast - 2. Moldau

black sheet music 03 2024. 8. 1. 23:54
728x90

 

 스메타나(Bedrich Smetana,1824~1884)는 보헤미아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음악의 재능을 나타내며, 19세 때에 프라하에서 피아노와 작곡을 배웠다. 그 이후로 피아니스트나 지휘자로 활약하면서 작곡 활동을 계속하여, 수많은 뛰어난 작품을 썼다. 그는 보헤미아를 대표하는 작곡가의 한 사람으로서, 민족색이 강한 국민악파의 음악을 남겼다.

 

악곡 해설
 이 곡은 50세에서 55세에 걸쳐 작곡한 전 6곡의 교향시 '나의 조국'의 제2곡이다. 오스트리아에 속박된 보헤미아를 사랑하는 조국애를 몰다우 강의 흐름에 따라 펼쳐지는 풍경에 실어서 음악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 곡에는 다음과 같은 표제가 붙어 있다.

 

【표 제 】
 이 강은 두 개의 수원으로부터 비롯되어서, 바위에 부딪혀, 햇빛에 반짝이면서 강폭을 넓힌다. 강가에는 사냥의 뿔피리와 시골의 춤곡이 메아리치고, 밤에는 물의 요정이 춤춘다. '성 요한의 급류'에 다다라 물보라를 일으켜, 이윽고 강은 프라하 시로 들어가, 고귀한 옛 비셰흐라트 성을 우러러 보면서 흘러간다.

 

 

<몰다우강과 비셰흐라트성>

 교향시<몰다우>는 일정한 형식이 없고, 강의 흐름에 따라서 그 표정에 알맞은 울림을 연결시켜서 전곡을 통일 시키고 있다. 
  이 <몰다우>는 악보 처음에 악곡 해설에서 보았듯이 작곡자 자신에 의한 표제가 붙여져 있다.  

  다음은 그 표제를 구절별로 구분하여 감상한다.

 

 two water sources: Allegro commodo non agitato, E minor, 6/8 time

1: 두 개의 수원: 적절한 빠르기로, 격양되지 않게, 마단조, 6/8박자

첫 번째 수원의 냇물이 햇빛을 받아 반짝이고 바람을 받아 일렁거리며 흘러 물이 차차 불어난다.

[해석] 곡은 먼저 몰다우 강의 두 개의 수원으로부터 비롯된다. 첫번째 수원은 플루트의 음형으로 냇물이 흘러 물이 차차 불어나는 것을 표현한다.

https://youtu.be/mUcylXTn1yI

 

https://youtu.be/UZYmevy_2Io

 

 

이어 두 번째 냇물이 흘러, 두 시냇물이 얽히면서 수량이 불어난다.
[해석] 이어 클라리넷에 의한 두번째 수원이 흘러, 두 냇물이 합쳐지면서 수량이 불어나듯 음이 고조된다.

 

 The theme of Moldau: Allegro commodo non agitato, E minor, 6/8 time

몰다우의 주제: 급하지 않고 적당한 빠르기로, 마단조, 6/8박자

[해석] 이어 클라리넷에 의한 두번째 수원이 흘러, 두 냇물이 합쳐지면서 수량이 불어나듯 음이 고조된다.

 

https://youtu.be/D28CVKIVvZ

 

https://youtu.be/qq8RrhP1iTo

 

 Forest and hunting: L'istesso tempo ma moderato, E minor, 2/4 time

숲과 사냥: 이전의 보통 빠르기로, 마단조, 2/4박자

강가의 숲에서 사냥의 뿔피리 소리가 울려 퍼진다.

[해석] 비올라가 가해지고 현악기에 이어받아지자, <몰다우>의 주제가 제1바이올린과 오보에에 의해 노래되고, 차차 고조되어 간다. 시냇물은 바위에 부딪혀 쾌활하게 소리내고, 햇빛에 반짝이면서 강폭을 넓힌다. 

  https://youtu.be/cyx8yWKzC34

 

https://youtu.be/tCHI93k-6LI

 

 

 Farmer's Dance: L'istesso tempo ma moderato, G Major, 2/4 time

농부들의 춤: 이전의 보통 빠르기로, 사장조, 4/4박자

마을의 축제에서 농민들의 즐거운 춤곡(폴카)이 메아리친다.
[해석] 점점 뿔피리 소리가 멀어지자, 강가의 마을에서는 결혼 축하 잔치로 폴카의 춤곡을 춘다. 폴카는 보헤미아의 민족 춤곡으로 빠른 2박자의 곡이다.

https://youtu.be/-Ni5TNy8lk0

 

https://youtu.be/-HD3fngHr_A

 

 

 Dance of the moonlight and fairies: L'istesso tempo, A flat major, 4/4 time

달빛과 요정들의 춤: 이전과 같은 빠르기로, 내림가장조, 4/4박자

마침내 밤이 되자, 달빛을 받고 물의 요정이 춤춘다.

[해석] 점점 뿔피리 소리가 멀어지자, 강가의 마을에서는 결혼 축하 잔치로 폴카의 춤곡을 춘다. 폴카는 보헤미아의 민족 춤곡으로 빠른 2박자의 곡이다.

https://youtu.be/ttB7V6lyvW4

 

https://youtu.be/AsOI5lNWH04

 

 

② Reproduction of the theme: Allegro commodo non agitato, E minor, 6/8 time

주제의 재현급하지 않고 적당한 빠르기로마단조, 6/8박자

앞에서 연주했던 주제 선율을 동일하게 다시 연주함으로서 계속해서 흘러가는 강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성 요한의 급류에 부딪히기 전의 강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https://youtu.be/kkmX77HQoQk

 

 

 ⑥ St. John's Torrents: Allegro commodo non agitato, E minor, 6/8 time

성 요한의 급류급하지 않고 적당한 빠르기로마단조, 6/8박자

이윽고 '성 요한의 급류'에 다다라, 물보라를 일으켜 흩날린다.

[해석] 흥겨운 혼례의 춤이 조용해지자, 몰다우 강은 마침내 밤을 맞이한다. 천천히 흐르는 강은 달빛에 비쳐서, 물의 요정은 돌림춤을 춘다. 여기서 박자는 4/4박자로 바뀐다. 플루트와 클라리넷은 달빛에 흔들리는 수면을 표현하고, 약음기를 붙인 바이올린은 작은 소리로 가락을 연주한다.

https://youtu.be/3-sYJOI8K9w

 

https://youtu.be/Nc6KqBZErPQ

 

 ⑦ Noble Vyšehrad Castle: Più moto, E Major, 6/8 time

고귀한 비셰흐라트 성더욱 생기있게마단조, 6/8박자

여기서 강은 고귀한 비셰흐라트 성을 우러러 보면서 흘러간다.

[해석] 흐름이 다시 소란스러워지자 몰다우의 주제가 연주되어 차차 곡은 차차 고조되어 이윽고 '성 요한의 급류'에 다다른다. 현악기는 흩날리는 물보라를 묘사하고, 관악기군은 긴박한 소리를 낸다.

https://youtu.be/fe8B2SDWXjA

 

https://youtu.be/HOcV5pZ1l6o

 

 

 

[해석] 일순간 조용해진 흐름은 급격히 솟아올라, 여기서 강은 프라하 시로 당당하게 흘러 들어가는 부분이 된다. 조는 마 장조로 바뀌어, 이윽고 <나의 조국> 제1곡 옛 성<비셰흐라트>의 주제가 피콜로와 플루트로 높다랗게 울려 퍼진다. 
 몰다우는 조국의 밝은 미래를 예고하듯이 흘러 간다. 마침내 마 장조의 으뜸화음으로 서서히 음량을 줄이면서 끝난다.


https://youtu.be/GKUPDeST8Ng

 

 

https://youtu.be/HOcV5pZ1l6o

 

     

 이와 같이 <몰다우>는 표제 내용에 맞추어서 곡을 구성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각 부분은 매우 이질적인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이질적인 것을 연결시키고 있는 것이 곡 첫머리의 플루트의 가락과 몰다우의 주제이다.

 

'몰다우' 전곡  감상하기
https://youtu.be/i7-6hsCn7qA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2

무제 문서 ■ 책 소개 QR코드를 통해 유튜브로 바로 감상하는 클래식 명곡! 저자 서경수는 중등음악교육의 베테랑 수석교사로, 효과적이고 수월한 음악 감상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 30여 년간 노

www.yesolpress.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