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243

말러 교향곡 제9번 라장조 Mahler Symphony No. 9 in D Major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말러(Mahler, Gustav : 1860~1911)는 근대 독일의 최대 최후의 낭만파 교향곡의 작곡자이며 지휘자이다.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극음악 작품에 전념하는 등 왕성한 작곡 활동을 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교향곡, , 가곡집 등이 있다.​​   악곡 해설1909년 여름부터 성악을 포함하지 않은 순기악곡으로 제9번 교향곡을 쓰기 시작하여 이듬해 인 1910년에 전통적인 교향곡의 구조와는 달리 제1악장과 제4악장을 느린 악장으로 완성했으며 죽음과 이별의 느낌을 담고 있다. 특히 제4악장은 론도형식을 활용하여 위로와 외로움을 번갈아 가며 표현하다가, 죽음과 이별을 표현하는 모렌도 기법으로의 아주느리고 아주 여리게 모든 것이 사라진다. ​​I. Andante comodo, D Major, 4/4 tim..

카테고리 없음 2024.08.01

브루크너 교향곡 제9번 라단조 작품109 Bruckner Symphony No.9 in D minor WAB. 109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브루크너(Bruckner, Josef Anton 1824~1896)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로 안스펠덴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학교 교장으로서 오르가니스트였으며 아버지에게서 음악교육을 처음 받았다. 11세 때 본격적으로 대부였던 바이스에게서 음악을 배우고, 12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1837년 성 플로리안수도원 부속학교에서 오르간을 배웠다. 1840년 교사가 될 생각으로 린츠의 교원 양성소에 입학하였으며, 1841년 교원 시험에 합격하여 보조교원으로 있다가 1855년 콩쿠르에 통과하여 1856년부터 13년간 린츠성당 오르가니스트가 되었다. 1861년부터 S.제히터에게서 통신교육으로 작곡이론을 배웠으며, 린츠시립오페라극장의 지휘자 O. 키츨러 밑에서 음악형식론과 관현악법을 연구하고 1863년 린츠시에서 《탄호이..

카테고리 없음 2024.08.01

드보르자크 교향곡 제9번 마단조 작품95 '신세계로 부터' Dvorak Symphony No. 9 in E minor Op. 95 "From the New World"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드보르작(Dvorak Antonin : 1841∼1904)은 체코의 작곡가, 보헤미아 국민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슬라브족 춤곡 형식을 도입하여, 보헤미아의 정서가 넘치는 곡을 많이 작곡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 현악 4중주곡 , , , 첼로 협주곡 나단조 등이 있다.     악곡 해설 이 곡은 1892년 미국 뉴욕의 내셔널 음악원 원장으로 3년간 체재하던 시기에 보헤미아 이주민이 모여 있는 촌락과 아이오와주 스필빌을 찾아가 그들과 즐기는 한편, 대평원에서 받은 인상에 감동을 받은 인상에 감동을 받아 그 지방에서 유행하는 흑인 민요를 해석적으로 사용하였고, 라는 교향곡을 작곡하여 1893년 뉴욕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초연으로 크게 성공하였다.악기편성 : 목관 악기 - 플루트(2), 오보에(잉글리쉬 ..

카테고리 없음 2024.08.0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