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243

02-1. 민음표와 민쉼표

2-1. 민음표와 민쉼표 1) 음표 / 보표에 적어서 음의 높고 낮음과 길고 짧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 민음표와 점음표 등이 있다.(1) 음표의 부분별 명칭 (2) 민음표의 모양과 길이 2-2. 셋잇단음표와 두잇단음표 1) 셋잇단음표 / 2등분해야 할 음표를 3등분한 음표로서 음표 아래에 '3'을 적어 표시한다. 2) 두잇단음표 / 3등분해야 할 음표를 2등분한 음표로서 음표 아래 부분에 '2'를 적어 표시한다. 2-3. 점음표와 점쉼표 1) 점음표 / 민음표의 오른쪽에 점을 붙여 원래 길이에 1/2을 더한 것 (1) 모양과 길이  (2) 겹점음표 / 음표의 오른 쪽에 작은 점이 2개 붙어 있는 것으로, 첫째 점은 앞 음표의 이며, 둘째 점은 앞 음표의 (앞 점의)의 길이에 해당한다. 2) 쉼..

01-3. 보표와 음자리표

1-3. 보표 및 음자리표1) 보표(Staff) (1) 보표 : 음의 높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5선(다섯 줄)의 평행선에 음자리표를 넣은 것이다       ① 덧줄, 덧칸 : 5선 보다 높은 음이나 낮은 음을 기보할 때에는 덧줄을 그어 사용한다.     ② 8va Alta(한 옥타브 올리기)와 8va Bassa(한 옥타브 내리기)  덧줄이 많은 악보를 읽기 쉽게 하기 위하여 1옥타브 올리거나(8va Alta), 내리는 것(8va Bassa)을 말한다.◆ Alta나 Bassa는 붙이지 않고 8va 또는 8만  붙인다. 2) 보표의 종류 (1) 작은 보표 : 1개의 보표(홑 보표)로 이루어 진 것으로 독창곡과 독주곡에 사용. 베토벤-교향곡 제5번 다단조 '운명' 제1악장 1주제    (2) 큰 보표 : 2개의..

01-2. 음이름과 계이름

1-2. 음이름과 계이름 1) 음이름 / 일정한 진동수를 가진 고른음은 그 높이에 따라 '다·라·마·바·사·가·나·다'와 같이 고유한 이름이 붙여져 있는데, 이것을 음이름이라고 한다. 음이름은 계이름과는 달리 조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다. 음이름을 붙이는 데에는 한국, 영국, 독일 등과 같이 문자를 사용하는 방법과 프랑스, 이탈리아처럼 철자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세계 여러 나라의 음이름  2) 원음(原音) / 건반악기(피아노와 오르간 등)의 흰 건반에 해당하는 음을 말하며, 자연음(自然音)이라고도 한다.가온 다(가운데 있는 '다', MIDDLE 'C')는 높은음자리표와 낮은음자리표의 가운데 위치한 음을 말하며, 높은음자리표에서는 아래 첫째 줄이 되고 낮은음자리표에서는 위 첫째 줄이 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