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243

무소륵스키 모음곡 '전람회의 그림' Mussorgsky Pictures at an exhibition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무소륵스키(Mussorgsky, Modest Petrovich : 1839.3.21~1881.3.28)는 19세기 낭만주의 음악의 후반에 러시아 국민음악파 5인조 음악가 가운데 가장 독창적이고 정열적이며 러시아의 깊고 무거운 서정성을 잘 나타낸 작곡가로서 오페라《보리스 고두노프》, 교향시《벌거숭이 산의 하루밤》, 모음곡 《전람회의 그림》 등을 작곡했다.          악곡 해설   이 작품은 무소르그스키의 친구였던 하르트만(Victor Hartmann, 1834~1873)이라는 건축가 겸 화가가 죽은 후 하르트만의 유작인 전람회를 가보고서 죽은 벗을 생각하는 마음과 그의 작품에서 느낀 감명등을 음악으로 그려 본 것이다. 본래 이 곡의 원작은 피아노 곡으로 되어 있지만 후에 오케스트라로 편곡하여 널리 연..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교향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작품30 Richard Strauss Also Sprach Zarathustra, Op. 30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Richard Strauss, 1864~1949)독일 후기 낭만 음악 작곡가, 지휘자대표곡: 교향시 ‘돈 후안’, ‘틸 오일렌슈피겔의 유쾌한 장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오페라 ‘장미의 기사’, 살로메, 알프스 교향곡, 가정 교향곡, 알프스 교향곡, 13개의 관악기를 위한 세레나데 등​​악곡 해설이 곡은 니체(Friedrich Wilhelm Nietsche, 1844-1900)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Thus Spoke Zarathustra, 1883-1885)을 바탕으로 철학을 음악화한 교향시이다.니체의 서사시를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너무나 완벽하게 표현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지휘로 1896년 11월 27일에 초연했다. 곡의 규모는 총 9개 부분으로 되어 있..

리스트 교향시 제3번 ‘전주곡’ 작품97 Liszt Les Préludes, Symphonic Poem No.3, S.97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리스트(Liszt, Franz : 1811∼1886)는 헝가리의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피아노에 엄청난 재능을 보인 작곡가로서 '교향시'라는 새로운 음악 양식을 창조하여 낭만파에 공헌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교향곡《파우스트》, 《피아노 협주곡》, 《교향시》, 《헝가리 광시곡》 등이 있다. 악곡 해설시적인 이미지를 흐름을 따르면서 구성되어 가는 단일 악장 형식의 관현악곡을 교향시라고 하는데, 이 형식은 리스트가 창시했다.이 곡은 리스트의 13곡의 교향시 중에서 대표적인 작품이다. 프랑스 낭만주의의 대표 시인 알퐁스 드 라마르틴(Alphonse de Lamartine, 1790~1868)의 시적 명상록(Nouvelles méditations poétiques)의 한 부분을 서문처럼 표지 뒷면에 다음과 같은 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