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243

당피리

당피리는 한국의 전통 관악기 중 하나로, 한국 전통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당피리는 중국에서 유래한 악기로, '당'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당나라에서 유입된 악기로 알려져 있다.당피리는 대나무로 만들어진 피리로, 길이는 약 30cm에서 40cm 정도이며, 관의 끝에는 얇은 갈대를 사용한 겹서(리드)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는 소리를 내는 중요한 요소이다.8개의 지공이 있으며, 이 중 7개는 앞면에 있고 1개는 뒷면에 있다. 이 지공을 통해 음정을 조절한다.당피리의 음색은 맑고 강하며, 매우 독특한 소리를 낸다. 높은 음역대에서 밝고 명료한 소리를 내며, 낮은 음역대에서는 부드럽고 풍부한 소리를 낸다.https://youtu.be/EZQcfG5IlC4?si=adrr1G7C6aiF5ANP ..

세피리

세피리는 조선시대 후기부터 사용되고 있으며, 향피리나 당피리보다 대나무관이 가늘어서 입김이 통하는 관안쪽의 좁고 겹서가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불기가 힘든 악기이다.   https://youtu.be/LrCNpb_lzDM?si=Bl_ZfIYoiHMy8XbB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음악전문 출판사 [예솔]에서 신간도서를 안내해 드립니다. 저자 서경수|출간분야 음악|크기 152X225mm|...blog.naver.com

대금

대금은 중금,소금과 함께 신라 삼죽(三竹)의 하나이다. 저 또는 젓대라고도 부르며, 정악(正樂)대금과 산조(散調) 대금이 있다. 여러 해 묵은 황죽(黃竹)이나 살이 두텁고 단단한 쌍골죽(雙骨竹)으로 만든다. 취공(吹孔)1개, 청공(淸孔)1개, 지공(指孔)6개가 잇으며, 칠성공(七星孔)은 하나 또는 두 개가 있다. 삼국시대부터 우리나라에서 만들어 사용해 왔으며 영산회상, 여민락,보허자,낙양춘,본령 등 정악에 사용되고, 시나위,민요, 산조등 민속악에도 쓰인다. https://youtu.be/I04mWw0Ud6o?si=gftULrqDsIOKbuyp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음악전문 출판사 [예솔]에서 신간도서를 안내해 드립니다. 저자 서경수|출간분야 음악|크기 152X225mm|...blog.naver.com

728x90